14

<여전히 서툰 어른입니다>(사이토 다카시)

여전히 서툰 어른입니다 《내가 공부하는 이유》, 《혼자 있는 시간의 힘》, 《독서는 절대 나를 배신하지 않는다》 등의 베스트셀러로 한국과 일본의 300만 독자를 사로잡은 괴짜 교수 사이토 다카시는 이 책에서 ‘어 www.aladin.co.kr 제목에서 끌린 책이다. 왠지 내가 하고 싶은 말처럼 보였다. '저는 여전히 서툰 어른입니다.' '여보, 나도 여전히 서툰 어른일 뿐이야.' '아빠도 여전히 서툰 어른일 뿐이야.' '샘도 여전히 서툰 어른일 뿐이야' 이렇게 고백하고도, 인정받고도 싶을 때가 있다. 나이가 들어갈수록, 어떤 상황에 성숙하게 대처하지 못할 때에, 스스로가 무력하게 느껴질 때에, 좀더 잘 살아가야지 싶을 때에 그렇다. 이 책에서 혹시 해답이라도 얻을 수 있으려나 싶었다. 역시 기대가 크면 ..

메모노트 2022.02.09

<떨림과 울림>(김상욱), 과학책 읽기 /마구독서

떨림과 울림 (한정판 리커버) ‘물리’라는 새로운 언어를 통해 우리 존재와 삶, 죽음의 문제부터 타자와의 관계, 세계에 관한 생각까지 새로운 틀에서 바라볼 수 있게 안내해주는 책이다. www.aladin.co.kr 과학이 주는 그 너머의 울림 :: 책 , 김상욱, 동아시아(2018) 새롬도서관에서 어제 빌린 책이다. 도서관 서가에서 저자 '김상욱'이란 이름에 끌렸고, 과학에 문외한인 내가 과학 좀 알아야겠다 싶어 끌렸다. 이럴 땐 책의 목차, 머리말, 한 챕터 정도를 읽으면 된다. 읽고 난 뒤 좀더 읽고 싶은 마음이 생기면 빌리면 된다. "이 책은 물리학이 인간적으로 보이길 바라는 마음으로 썼다. 인문학의 느낌으로 물리를 이야기해보려고 했다." (7쪽, 프롤로그 중) 물리학을 인문학의 느낌으로 이야기하려..

메모노트 2022.02.01

책 <남편이 죽어버렸으면 좋겠다>

-고바야시 미키, 박재영 옮김, 북폴리오, 2017 도서관 책꽂이에서 이 책을 본 것은 몇 해 전이다. 내 눈을 믿지 못해 꺼내들기는 했지만, 목차를 읽고 중간중간 몇 장을 읽으면서 결국 다시 꽂아넣었다. 생각보다 별로라기보다는 겁이 나서였다. 일본에서 출간된 터라 제목이나 표현에서 지나친 감이 있지만, 나에게도 해당되는 내용이 꽤나 있어 보여서였다. 그러니깐 내가 이 책 속의 '남편'에 해당되는 건 아닐까 무서워서 그랬다. 그러면서 이런 책이 왜 도서관에, 그것도 어린이도서관 성인코너에 버젓이 꽂혀 있는 거야 라고 생각도 했다. 그러고 한참 뒤에 이 책을 빌려보게 되었다. 물론 그때도 끝까지는 못 읽었다. 중간정도까지 읽었었나. 나는 책을 온갖 곳에서 들고 다니며 읽는 편인데, 이 책은 도저히 꺼내들기..

메모노트 2021.12.12

<논쟁수업으로 시작하는 민주시민교육> 마구독서

논쟁 수업으로 시작하는 민주시민교육 2018 DKG 교육저술상 수상, 2017 미국교육협회(AESA) 비평가 선정작. 배려와 돌봄에 주목한 대표적인 여성주의 학자이자 존 듀이의 계보를 잇는 세계적인 교육철학자로 알려진 넬 나딩스와 그녀의 딸 www.aladin.co.kr 비판적 사고의 중요성을 부인할 사람은 없을 거다. 자신에게 주어지는 지식, 가치, 현실 등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기보다는 그것들을 어떻게 바라보아야 하는지를 스스로 생각하고 찾아가는 과정이 비판적 사고이기 때문이다. 이는 인간답게 살아가는 방법이기도 하다. 교육의 목적이 '인간다운 삶'이라면 그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 중 하나가 분명 비판적 사고력이다. 학교가 필요한 이유는 함께 어우러져 살아가는 방법과 경험을 기르고 스스..

메모노트 2021.12.06

늑대는 양을 잡아먹었을까

늑대는 양을 잡아먹었을까? Ein Schaf fuers Leben/Schaap met Laarsjes(2002) 글ㅣ마리트겐 마터/ 그림ㅣ앙케 파우스트 / 유혜자 옮김, 꿈터, 2005 늑대와 양의 이야기인데요, 등장인물에서부터 먹고 먹히는 관계가 깔려있죠. 양을 잡아먹으려는 늑대와 아무 것도 모르는 순진한 양이 먹고 먹히는 관계에서 '추억'을 공유하는 관계로 변해가는 과정을 그리고 있습니다. 어쩌면 늑대가 자신의 먹이라고만 생각했던 양을 추억과 우정을 나누는 존재로 여기게 되는 과정이라고 해도 되겠습니다. 늑대는 양을 잡아먹기 위해 이런저런 거짓말을 하게 됩니다. 불순한 의도를 가진 거죠. 하지만 그것이 결국 둘이서 추억을 쌓는 여행을 하게 만들죠. 시간과 공간을 공유하는 것만으로 '추억'이 됩니다. ..

메모노트 2021.12.05

붉은 깃발법

1865년 영국은 당시 새로 발명된 증기자동차가 마차 끄는 말을 놀래지 않게 하기 위해서 '붉은 깃발법 The Locomotives on Highways Act'을 시행했다. 이 법에 따라 자동차는 당시 시속 30킬로미터 이상으로 달릴 수 있었지만 시속 6.4킬로미터로(시내에서는 시속 3.2킬로미터), 그것도 붉은 깃발을 흔들며 마차 뒤에서 달려야만 했다. 증기자동차 운행으로 손님을 빼앗긴 마차 업자들을 보호하기 위해 만든 이 법은 1896년에야 폐지되었으며, 이로 인해 세계 최초로 자동차를 사용화했음에도 영국의 자동차 산업은 외국보다 경쟁력에서 뒤처졌다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 134쪽) '붉은 깃발법'은 시대착오적인 규제의 사례이자 상징적 표현으로 사용되고 있다. 2018년 문재인 대통령이 인터넷전문..

메모노트 2021.11.30

'마지막 거인'(프랑수아 플라스)

어린이도서관에서 빌린 책 (프랑수아 플라스, 윤정임 옮김, 디자인하우스, 2002)을 읽었다. 저자는 12~13세 청소년을 위해 이 책을 썼으나 어른들이 읽어도 좋은 책이라고 말했다고 하는데, 그 말이 맞다. 꽤나 묵직한 주제와 말투로 쓰인 책이라 저학년 어린이보다는 고학년 어린이가 읽기에 적합하다. 그리고 나처럼 동화책이나 그림책을 좋아하는 어른들이 읽기에도 좋은 책이다. 책이 남기는 생각과 감정의 여운을 좋아한다면 어른들을 위한 동화책이라고 생각해도 좋을 듯 싶다. 우연하게 얻은 거인의 이(치아)가 계기가 되어 주인공은 거인족의 나라를 찾아나선다. 죽을 고비를 넘기며 겨우 도달한 거인족의 나라에서 그는 거인들의 보살핌을 받으며 한동안 아홉 명의 거인들과 함께 살아간다. 거인들의 몸에 새겨진 문신들은 ..

메모노트 2021.11.19

니트족(NEET)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 청년층 부가조사(2019년 5월) 결과에 따르면 15~29세 청년층 비경제활동인구 가운데 취업 시험 준비자는 모두 71만 4,000명(15.3퍼센트)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2009년 이후 2018년까지 매년 30만 명 안팎인 "그냥 쉬었다"는 청년을 포함해 100만 명 이상이 이력서의 '빈칸' 속에 갇혀 있다. 이른바 청년 니트(Not in Employment, Education or Training'의 약어로, 일하지 않고 일할 의지도 없는 무직자를 일컫는다)족에 해당된다. 더구나 코로나19 창궐 초기인 2020년 2월에는 청년층 중 "그냥 쉬었다"고 답한 인구가 43만 8,000명으로 치솟았다. (61) - 책 《EBS 지식채널 X 밀레니얼경제》(EBS BOOKS) 중에서 청..

메모노트 2021.11.17

유효은퇴연령 = 72.3세

우리나라 남성의 유효은퇴연령은 평균 71.1세로, OECD 국가 가운데 멕시코(72세)에 이어 두 번째로 높다. 유효은퇴연령이란 노동시장에서 완전히 빠져나가 더는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나이로, 실질적인 은퇴 시점을 뜻한다.(61) -책 (EBS BOOKS) 구글 검색을 해보니, 위 자료는 2014년 조사 수치인 것 같다. 그래서 직접 찾아봤다. OECD Statistics (https://stats.oecd.org) 유효은퇴연령은 'Effective retirement age'로 검색. 2019년도 보고서 자료가 가장 최근인 듯. Pensions at a Glance: Pensions at a Glance 2019 2018년의 통계자료를 기준으로 작성된 듯한 엑셀표가 나온다. 영어를 잘 못하지만 대강 눈..

메모노트 2021.11.16

<나는 이 질문이 불편하다>(안광복) /마구독서

불편한 질문, 좋은 삶의 고민 독서도, 생각도 마구잡이식이라 일단 기록부터 해둔다. 나는 이 질문이 불편하다 철학은 어렵고 재미없다는 편견을 깨고 30만 명이 넘는 독자들을 철학의 세계로 이끈 저자 안광복은 마음을 불편하게 하는 낯설고도 도발적인 22개의 물음을 던진다. www.aladin.co.kr 행복의 만족도는 연소득 1억 8천 만원까지만 -이스털린의 역설 경제학자 리처드 이스털린은, 부가 일정 수준을 넘어서면 가진 것이 많아져도 더 이상 행복도가 증가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학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지금의 대한민국에서는 연평균 소득 1억 8000만 원이 넘었을 때부터 그렇다고 한다. 사회복지가 더 잘 갖추어진 사회에서는 연봉 6000만 원 정도가 되면 돈이 더 이상 행복감을 늘려주지 못한다는 연구 ..

메모노트 2021.1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