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모노트

니트족(NEET)

onmaroo 2021. 11. 17. 03:14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 청년층 부가조사(2019년 5월) 결과에 따르면 15~29세 청년층 비경제활동인구 가운데 취업 시험 준비자는 모두 71만 4,000명(15.3퍼센트)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2009년 이후 2018년까지 매년 30만 명 안팎인 "그냥 쉬었다"는 청년을 포함해 100만 명 이상이 이력서의 '빈칸' 속에 갇혀 있다. 이른바 청년 니트(Not in Employment, Education or Training'의 약어로, 일하지 않고 일할 의지도 없는 무직자를 일컫는다)족에 해당된다. 더구나 코로나19 창궐 초기인 2020년 2월에는 청년층 중 "그냥 쉬었다"고 답한 인구가 43만 8,000명으로 치솟았다. (61)
- 책  《EBS 지식채널 X 밀레니얼경제》(EBS BOOKS) 중에서

 청년실업은 노년층의 빈곤문제와 더불어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다. 정치권에서는 청년들의 표심을 잡기 위해 청년층의 취업, 주거 관련 정책들을 쏟아내고 있다. 그러는 가운데 일할 의지는 있으나 직장을 구하지 못한 '실업자'와 달리, 취업 의지 자체가 없는 '니트족'은 사회적 병리현상으로 여겨지고 있다. 또한 청년실업자의 증가에 따라 취업을 포기하는 니트족 역시 증가하고 있다. 이는 고용과 노동시장의 불안정성과 상관이 있으며, 최근 위험의 외주화나 비정규직의 규모화로 인해 청년층의 취업의지는 떨어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개인의 의지와 역량 문제로만 바라봐서는 안 된다.

 

 

:: 니트족에 관한 다른 정보

 

  • 네이버 지식백과
 일하지 않고 일할 의지도 없는 청년 무직자를 뜻하는 신조어. Not in Education, Employment or Training의 줄임말이다. 보통 15∼34세 사이의 취업인구 가운데 미혼으로 학교에 다니지 않으면서 가사일도 하지 않는 사람을 가리키며 무업자(無業者)라고도 한다. 취업에 대한 의욕이 전혀 없기 때문에 일할 의지는 있지만 일자리를 구하지 못하는 실업자나 아르바이트로 생활하는 프리터족과 다르다. 1990년대 경제상황이 나빴던 영국 등 유럽에서 처음 나타났으며 일본으로 빠르게 확산되었다. 고용환경이 악화되어 취업을 포기하는 청년실업자가 늘어나면서 니트족도 증가하였고 사회불안을 유발하는 사회병리현상으로 자리 매김하고 있다. 특히 장기불황을 겪은 일본의 경우 정부차원에서 대책을 마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005년 5월 22일 일본 내각부는 2002년 현재 일본의 니트족이 약 84만 7000명으로 조사되었다고 밝혔다. 니트족을 줄이기 위해 일본 정부는 고용 및 교육 전문가들로 협력체를 구성하여 취업을 지원할 계획이다. 한국에서도 니트족이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5년 5월 19일 현대경제연구원은 <한국경제주평>을 통해 2004년 한국의 니트족 수는 약 18만 7000명이며, 2015년에는 전체 인구의 1.71%인 85만 3900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추산하였다. 소득이 없는 니트족은 소비 능력도 부족하기 때문에 늘어날수록 경제의 잠재성장력을 떨어뜨리고 국내총생산도 감소시키는 등 경제에 나쁜 영향을 주는 동시에 실업문제를 비롯한 여러 가지 사회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크다.   
      - [네이버 지식백과] 니트족 [not in education, employment or training] (사회복지학사전, 2009. 8. 15., 이철수)

 

-질문

  • '백수', '히키코모리'와 다른 점은?
  • 스폰지밥에 나오는 '뚱이'는 니트족인가?